맨위로가기

굿모닝 급행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굿모닝 급행버스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를 연결하는 급행 버스 노선으로, 일반 직행좌석버스와 달리 연령별 요금 차등제를 시행한다. 굿모닝 급행버스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통해 거점 정류장만을 정차하여 운행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4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환승센터 건설 및 굿모닝 급행버스 신설 공약이 제시되었으며, 향후 복합 환승센터 개발, 2층 버스 도입, 좌석 예약제 확대 등을 계획하고 있다. 과거에는 여러 노선이 운행되었으나, 일부는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거나 노선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폐지 - 불당동
    불당동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과거 풀무골 또는 불무골이라 불리던 지역이며, 주요 행정 기관과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천안아산역이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며, 교육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 2021년 폐지 - 상일동
    상일동은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고내천 윗부분에 자리하며 고덕 주공 아파트 단지, 상일동역, 한영외국어고등학교, 삼성엔지니어링 본사 등이 위치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굿모닝 급행버스
버스 정보
이름굿모닝 급행버스
G6001
G6001
관리 기관경기도청 대중교통과
개시2016년 10월 15일
차적지경기도 (김포시·성남시·수원시·양주시·파주시)
차량 수65
운행사김포운수
대원버스
용남고속
신성교통
진명여객
파주여객

2. 운임

굿모닝 급행버스는 일반 직행좌석버스와 달리 연령별 요금 차등제를 시행하고 있다. 요금은 다음과 같다.

종류나이카드 (원)현금 (원)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2,4002,50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1,9202,0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1,6801,700


2. 1. 요금 체계

굿모닝 급행버스는 일반 직행좌석버스와 달리 연령별 요금 차등제를 시행하고 있다. 요금은 다음과 같다.

종류나이카드 (원)현금 (원)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2,4002,50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1,9202,0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1,6801,700


3. 노선 특징

굿모닝 급행버스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취하여 거점 정류장만을 정차한다.[1] 기존 직행좌석버스는 각 정류장에 모두 정차하여 운행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굿모닝 급행버스는 경기도 외곽 지역에 거점 환승 정류소를 설치하고 이 거점들 사이를 빠르게 연결하여 운행 시간을 단축한다. 경기도의 경우 대부분의 노선이 중복된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많고 서울특별시 시내 주요 정류장이 과포화되어 교통 체증이 심각해 직행좌석버스 노선 신설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로 출마한 남경필은 환승센터를 건설하고, 2분마다 경기도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는 굿모닝 급행버스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2]

향후 환승 주차장, 쇼핑 시설, 문화 시설을 결합한 복합 환승센터로 개발될 예정이며, 신설될 굿모닝 급행버스 노선에 2층 버스 도입과 좌석 예약제를 도입하여 입석 없이 환승센터에서 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광역급행버스와 유사하며, 기점부 7.5km 내 정류장 6곳만 정차할 수 있다. 전 노선 좌석제로 운영하여 입석 없이 편안하게 앉아서 출퇴근할 수 있는 버스를 목표로 신설되었다.

3. 1.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굿모닝 급행버스는 허브 앤드 스포크 방식을 채택하여 거점 정류장만을 정차한다.[1] 기존 직행좌석버스는 각 정류장에 모두 정차하여 운행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굿모닝 급행버스는 경기도 외곽 지역에 거점 환승 정류소를 설치하고 이 거점들 사이를 빠르게 연결하여 운행 시간을 단축한다. 경기도의 경우 대부분의 노선이 중복된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많고 서울특별시 시내 주요 정류장이 과포화되어 교통 체증이 심각해 직행좌석버스 노선 신설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로 출마한 남경필은 환승센터를 건설하고, 2분마다 경기도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는 굿모닝 급행버스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2]

향후 환승 주차장, 쇼핑 시설, 문화 시설을 결합한 복합 환승센터로 개발될 예정이며, 신설될 굿모닝 급행버스 노선에 2층 버스 도입과 좌석 예약제를 도입하여 입석 없이 환승센터에서 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광역급행버스와 유사하며, 기점부 7.5km 내 정류장 6곳만 정차할 수 있다. 전 노선 좌석제로 운영하여 입석 없이 편안하게 앉아서 출퇴근할 수 있는 버스를 목표로 신설되었다.

3. 2. 좌석 예약제 및 2층 버스 도입

굿모닝 급행버스는 허브 앤드 스포크 방식을 취하여 거점 정류장만을 정차한다.[1] 외곽 지역에 거점이 되는 환승 정류소를 마련하여 거점 정류장 간 빠른 이동을 위해 만들어지는 노선이다. 경기도의 경우 대부분의 노선이 중복된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많고 서울특별시 시내 주요 정류장이 과포화되면서 심각한 교통 체증으로 직행좌석버스 노선 신설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남경필이 환승센터를 건설하고, 2분마다 경기도에서 서울특별시로 향하는 굿모닝 급행버스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걸었다.[2]

향후 환승 주차장, 쇼핑 시설, 문화 시설을 결합한 복합 환승센터로 개발될 예정이며, 신설될 굿모닝 급행버스 노선에 2층 버스 도입과 좌석 예약제를 도입해 입석 없이 환승센터에서 운행하는 목적으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광역급행버스와 유사하며 기점부 7.5km 내 정류장 6곳만 정차가 가능하다. 전 노선은 좌석제로 운영되어 입석 없이 편하게 앉아서 출퇴근할 수 있다.

4. 운행 노선

4. 1. 과거 운행 노선

번호운행
업체운행구간기점부
정류장무정차 구간종점부
정류장배차
간격
(분)차적신설
일자기타
사항G1300진명여객양주
(덕정역)↔잠실역
환승센터
덕정주공1단지
옥정고등학교
이편한세상11단지
이편한세상19단지
양주덕현초등학교
유승한내들9단지
민락BRT정류소
활기체육공원신평화로
세종포천고속도로
강변북로잠실역
환승센터
15경기도
양주시2018년
4월 23일2층 버스 운행G3007용남고속수원
(선일초교)↔강남역경기도문화의전당
매탄주공4단지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영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신논현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15회경기도
수원시2018년
1월 24일2층 버스 운행
2018년 5월 직행좌석버스 3008번으로 전환G5100용남고속수원
(경희대학교)↔강남역살구골동아아파트
영통역
청명역
황골벽산아파트
두진아파트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30~420경기도
수원시2017년
2월 3일2층 버스 운행G6000김포운수김포
(한강신도시)↔서강대학교고창마을
장기상가
가현초교
수정마을
반도유보라2차
풍경마을
한신휴더테라스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오거리
이화여대입구
서강대학교
신촌오거리30경기도
김포시2016년
10월 15일2층 버스 운행G6001김포운수김포
(한강신도시)↔여의도환승센터고창마을
장기상가
가현초교
수정마을
전원마을1단지
모담마을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당산역30경기도
김포시2017년
1월 31일2020년 3월 1일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및 노선 변경G7111신성교통파주
(운정신도시)↔서울역
(YTN)청암초교
운정광역보건지소
지산중학교
해솔 6.7단지
해솔 1단지
새암공원제2자유로
수색로
성산로
(중앙차로)디지털미디어시티역
연세대학교
이대후문
광화문역
신한은행
시청역30~120경기도
파주시2015년
11월 14일2층 버스 운행G7426파주여객파주
(운정신도시)↔양재역가람 3.4단지
한길육교
야당역
한빛 4.8단지
한빛3.6단지
새암공원자유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한남대교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뱅뱅사거리20~25경기도
파주시2018년
3월 9일G7625파주여객파주
(운정신도시)↔여의도역가람 3.4단지
한길육교
운정행복센터
해솔 2.5단지
산내 11단지
새암공원자유로
강변북로
성산대교당산역
국회의사당역
증권거래소
KBS 별관
대한지적공사25~30경기도
파주시2018년
3월 9일G8110대원버스성남
(정자역)↔종각역수내역
서현역
이매촌 한신A
판교역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서울백병원
우리은행 종로지점
삼일교
남대문세무서6~15경기도
성남시2015년
5월 11일



일부 노선은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거나 노선이 변경되었다.

5. 개별 노선 정보

5. 1. G1300번 (양주 덕정역 ↔ 잠실역 환승센터)

G1300번은 2018년 4월 23일에 개통된 노선으로, 본래 직행좌석버스로 추진되었으나 준공영제 지연으로 경기도 보조금 지급이 가능한 굿모닝 급행버스로 변경되었다.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 이후 두 번째로 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이다. 신설 당시 경기도 북부 연고지로는 최초의 굿모닝 급행버스이자, 양주시 면허 최초로 한강 이남과 연결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며, 의정부시 최초의 잠실역 연계 노선이다.

5. 2. G3007번 (수원 선일초교 ↔ 강남역)

G3007번은 2018년 1월 24일 직행좌석버스 3007번의 급행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 5회, 퇴근 시간대에 10회 운행하였다. 개통 초기에는 3007번과 달리 우만동을 경유하지 않았으나, 2018년 1월 30일부터 우만동을 경유하여 3007번과 경로가 동일하게 되었다. 수원종합버스터미널의 2층 버스 진입 문제로 수원터미널에는 정차하지 않았다. 수원 지역에서는 3007번과 달리 한정된 정류장에만 정차했고, 서울 지역에서는 3007번이 시민의숲.양재꽃시장에서 강남역까지 강남대로를 왕복 운행하는 것과 달리 신논현역부터 시민의숲까지 편도로 운행하였다. 2018년 5월부로 3008번으로 전환되어 수원 지역의 정류소에 모두 정차하게 되었다.

5. 3. G5100번 (수원 경희대학교 ↔ 강남역)

G5100번은 2017년 2월 3일 직행좌석버스 5100번의 급행 노선으로 개통되어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한다. 초기에는 1대로 운행했으나, 2017년 11월 8일 증차되어 현재 4대로 운행하고 있다. 전 차량 2층 버스로 운행한다.

5. 4. G6000번 (김포 한강신도시 ↔ 서강대학교)

G6000번은 2016년 10월 15일에 개통되었으며, 4대의 2층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5. 5. G6001번 (김포 한강신도시 ↔ 여의도환승센터)

G6001번은 2017년 1월 31일에 개통한 노선이다. 2017년 10월 10일, 장기동 구간이 일부 변경되었다. 2020년 3월 1일부로 경기도 공공버스에 편입되면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어 김포 지역 일부 구간 및 당산역 ~ 여의도환승센터 구간이 단축되었다.

5. 6. G7111번 (파주 운정신도시 ↔ 서울역)

2015년 11월 14일에 간선급행버스 8880번 노선 인가가 변경되면서 직행좌석버스 7111번으로 변경과 동시에 11월 16일에 개통되었다. 2017년 3월 28일부터 2층 버스가 도입되었고 전 차량이 2층 버스로 교체되면서 굿모닝 급행버스로 전환되었다. 광역급행버스 M7111번 노선과 동일하며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 했으나 2018년 5월부터 평일 평시에 운행으로 변경과 동시에 1대가 증차되었다.

5. 7. G7426번 (파주 운정신도시 ↔ 양재역)

광역급행버스 M7426번으로 2013년 12월 23일 개통하였으며, 2018년 3월 9일 굿모닝 급행버스로 형간 전환되어 개통한 노선이다.

5. 8. G7625번 (파주 운정신도시 ↔ 여의도역)

2013년 12월 23일 광역급행버스 M7625번으로 개통하였으며, 2018년 3월 9일 굿모닝 급행버스로 형간 전환되었다.

5. 9. G8110번 (성남 정자역 ↔ 종각역)

2015년 5월 11일 간선급행버스 8110번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굿모닝 급행버스 시범 노선으로 선정되었고 2017년 8월에 굿모닝 급행버스로 전환되었다.

6. 향후 계획

6. 1. 복합 환승센터 개발

6. 2. 2층 버스 및 좌석 예약제 확대

참조

[1] 뉴스 거점정류소만 빠르게 연결‥굿모닝급행버스, 15일 운영개시 http://gnews.gg.go.k[...] 경기도청 2016-10-10
[2] 뉴스 남경필 "경기→서울, 2분마다 출발 '굿모닝 버스' 만들겠다" http://www.suwon.com[...] 수원일보 2014-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